본문 바로가기
Unreal5

루멘(Lumen)

by 르면가게 2025. 2. 23.

언리얼 엔진 5의 루멘(Lumen)은 실시간 글로벌 일루미네이션(Global Illumination, GI) 및 반사(Reflections) 시스템으로, 이전의 레이트레이싱 기반 GI 및 기존의 베이크드 라이팅(Precomputed Lighting) 방식보다 훨씬 더 유연하고 동적인 라이팅을 제공합니다.

🔹 루멘(Lumen)의 주요 특징

1. 실시간 글로벌 일루미네이션(GI)

  • 환경 변화에 따라 즉각적으로 조명이 반응하며, 씬 내 광원이나 오브젝트가 이동해도 실시간으로 GI가 적용됨.
  • 기존 베이크된 조명(Static Lightmap) 방식과 달리, 오브젝트를 움직일 때마다 수동으로 라이팅을 다시 구울 필요 없음.

2. 고품질 실시간 반사(Reflections)

  • 화면 공간 반사(Screen Space Reflections, SSR) 및 레이트레이스 반사와 혼합하여 더욱 정확한 반사 표현 가능.
  • 동적인 오브젝트나 거울, 반사 표면에서 높은 퀄리티의 반사 효과 구현.

3. 레이트레이싱이 필요 없는 GI 솔루션

  • 하드웨어 레이트레이싱(RTX) 없이도 동작하며, 소프트웨어 기반으로도 사용 가능.
  •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레이트레이싱과 함께 사용하면 더욱 정교한 조명 효과를 제공.

4. 다이나믹 씬 지원

  • 야외 환경의 낮과 밤이 변하는 씬(시간 변화)이나 파괴 가능한 지형에서 실시간으로 조명 변화를 적용 가능.
  •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실시간 콘텐츠 제작에 적합.

5. 성능 및 최적화

  • 하이엔드 PC와 콘솔(PS5, Xbox Series X 등)에서 높은 품질을 제공하지만, 성능이 중요한 프로젝트에서는 최적화를 고려해야 함.
  • 나나이트(Nanite)와 결합하여 보다 효율적인 성능 조정 가능.

🔹 루멘(Lumen) 활성화 방법

  1. 프로젝트 세팅 변경
    • Edit > Project Settings > Rendering에서 Dynamic Global Illumination MethodLumen으로 설정.
    • Reflection MethodLumen으로 변경.
  2. 라이팅 세팅
    • Directional Light, Sky Light의 Dynamic Lighting을 활성화.
    • Post Process Volume을 배치하고 Lumen 관련 설정을 조정.
  3. 최적화 조정
    • 성능이 부족한 경우, Console Command에서 r.Lumen.Reflections 0 또는 r.Lumen.DiffuseIndirect 0 등으로 일부 기능을 비활성화 가능.

🔹 루멘(Lumen) vs 기존 라이팅 방식

비교 항목  Lumen  기존 베이크드 라이팅
조명 업데이트 실시간 미리 계산됨
반사 퀄리티 고품질 실시간 반사 제한적 (SSR, 큐브맵)
퍼포먼스 GPU 성능 요구 높음 성능 최적화 가능
사용 편의성 즉각적인 반응, 베이크 불필요 조명 변경 시 다시 베이크해야 함

🔹 루멘을 사용할 때 고려할 점

  • 하드웨어 요구 사항: 높은 GPU 성능을 요구하며, 최신 콘솔 및 RTX GPU에서 최상의 퍼포먼스를 발휘.
  • 최적화 필요: 중저사양 기기에서는 성능 저하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일부 기능을 조정하거나 비활성화해야 함.
  • 전통적인 레이트레이싱과 비교: 하드웨어 레이트레이싱보다 효율적이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품질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정리

루멘은 언리얼 엔진 5의 강력한 실시간 조명 및 반사 시스템으로, 베이크 없이도 동적인 조명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게임뿐만 아니라 영화, 애니메이션, 건축 시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며, 최적화와 성능 조정을 신경 써야 합니다.

'Unreal5'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x for windows gpu capture plugin  (0) 2025.02.23
레이트레이싱  (0) 2025.02.23
언리얼 엔진의 OCIO 컬러스페이스  (0) 2025.02.12
UE5 관련 사이트  (1) 2025.02.06
OpenColorIO in UE5  (1)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