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uke/Color

씬 기반(Scene Referred)??

by 르면가게 2025. 2. 4.

📌 씬 기반(Scene Referred) 개념 설명

1️⃣ 씬 기반(Scene Referred)이란?

씬 기반(Scene Referred) 색공간은 실제 물리적 빛의 강도를 1:1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즉, 이미지나 영상의 픽셀 값이 씬(Scene)에서 빛이 반사되는 물리적 강도와 직접적으로 연결됨.

🎬 VFX, 3D 렌더링, HDR 워크플로우에서는 씬 기반 공간을 사용해야 현실적인 조명과 색을 유지할 수 있음!


2️⃣ 씬 기반 vs. 디스플레이 기반

개념 특징 용도
씬 기반 (Scene Referred) 물리적 빛 강도를 유지 (Linear) CG 렌더링, HDR, ACEScg, RAW
디스플레이 기반 (Display Referred) 최종 디스플레이에서 보이는 색을 기준 sRGB, Rec.709, SDR

 

씬 기반(Scene Referred)

  • 빛의 강도가 실제 물리적 값과 비례하여 저장됨 (Linear 공간)
  •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 손실 없이 보관 가능
  • 합성, 조명, 3D 렌더링, HDR 영상 제작에서 필수적
  • 예: ACES2065-1, ACEScg, OpenEXR, RAW

디스플레이 기반(Display Referred)

  • 최종 디스플레이에서 보이는 색을 기준으로 감마 변환
  • 색상이 모니터, TV, 영화관에서 정확하게 보이도록 조정됨
  • 예: sRGB(웹 표준), Rec.709(방송 표준), Rec.2020(4K TV), DCI-P3(영화관)

3️⃣ 씬 기반이 중요한 이유

1. 물리적으로 정확한 빛 연산 가능 (Linear Workflow)

  • 씬 기반 공간은 빛의 세기와 픽셀 값이 1:1로 매칭되므로 조명, 반사, 합성이 물리적으로 정확함
  • 예: CG 합성에서 Linear 공간이 아니면 빛이 부자연스럽게 보임

2.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 손실 없음

  • 씬 기반에서는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의 데이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음
  • 예: HDR 촬영에서는 씬 기반 데이터를 저장하고 최종적으로 SDR이나 HDR 디스플레이에 맞게 변환

3. 다양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최적화 가능

  • 씬 기반 데이터는 어떤 디스플레이에도 맞출 수 있음 (Rec.709, HDR10, Dolby Vision 등)
  • 예: 영화 작업에서 DCI-P3, Rec.2020, HDR 등 다양한 색공간으로 변환 가능

4️⃣ 씬 기반 워크플로우(Scene Referred Workflow)

🎬 VFX & CG에서의 씬 기반 워크플로우 예시

1️⃣ 촬영/렌더링 (씬 기반, Linear)

  • 카메라에서 RAW 촬영 또는 3D 렌더링 (ACEScg, Linear EXR)
  • 물리적 빛 강도 그대로 저장

2️⃣ 합성 & 조정 (씬 기반 유지, Linear 공간에서 작업)

  • Nuke, Houdini, Blender 등에서 Linear 공간에서 합성
  • 모든 조명 및 블렌딩 작업이 물리적으로 정확하게 계산됨

3️⃣ 색보정 & 마스터링 (씬 기반 → 디스플레이 기반 변환)

  • DaVinci Resolve, Baselight 같은 툴에서 최종 색보정
  • 필요한 디스플레이 색공간(sRGB, Rec.709, Rec.2020 등)으로 변환

4️⃣ 최종 출력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변환)

  • Rec.709 (TV 방송), sRGB (웹), DCI-P3 (영화관), Rec.2020 (HDR)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맞춰 LUT 적용

📌 이 과정에서 씬 기반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
📌 최종 출력할 때만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변환해야 정확한 색을 유지할 수 있음!


5️⃣ 씬 기반의 대표적인 색공간

색공간 특징사용  환경
ACES2065-1 (AP0) 가장 넓은 색역, 원본 보관용 VFX, 마스터링
ACEScg (AP1) CG 합성 및 3D 작업용 3D 렌더링, 합성
Linear sRGB Linear 공간에서 조명/렌더링용 일반적인 CG/VFX
OpenEXR (Linear) HDR 데이터 저장 CG 합성, HDR 작업

CG/VFX에서는 ACEScg(씬 기반)으로 작업 후 최종 출력할 때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변환!


📌 결론

씬 기반(Scene Referred)은 물리적 빛 강도와 1:1 매칭되는 공간으로 CG/VFX 작업에서 필수적
다이나믹 레인지 손실 없이 보관 가능하며, 조명/블렌딩/합성이 물리적으로 정확하게 계산됨
씬 기반 공간에서 작업한 후,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 기반 색공간(sRGB, Rec.709 등)으로 변환해야 정확한 색 표현 가능

👉 즉, 씬 기반은 CG/VFX에서 "현실적인 빛과 색"을 표현하기 위해 필수적인 개념! 🎬✨

'Nuke > Col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bit Half Float  (0) 2025.02.11
디스플레이 기반(Display Referred)???  (0) 2025.02.04
Log 곡선??  (0) 2025.02.03
Linear 색공간이란?  (0) 2025.02.03
ACES?? OCIO???  (0) 202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