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와 HTTPS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주요 차이점은 보안(암호화)의 유무입니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기본 프로토콜입니다.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요청(Request)을 보내고, 서버가 응답(Response)을 보내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특징
- 비보안 프로토콜: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고 전송 → 중간에서 도청(스니핑), 변조(중간자 공격, MITM) 가능
- 빠른 데이터 전송: 암호화 과정이 없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빠름
- 기본 포트 번호: 80
HTTP 요청 및 응답 과정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http://example.com 입력
- 브라우저가 웹 서버(example.com)로 요청 전송 (Request)
- 웹 서버가 응답(Response)을 생성하여 HTML 문서를 반환
- 브라우저가 HTML을 렌더링하여 화면에 표시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HTTPS는 HTTP에 보안 기능(암호화)을 추가한 프로토콜로, SSL/TLS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보호합니다.
특징
- 데이터 암호화: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또는 SSL(Secure Sockets Layer)을 이용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안 강화
- 데이터 무결성 보장: 전송 중 데이터 변조 방지
- 인증서 사용: 신뢰할 수 있는 기관(CA, 인증기관)이 발급한 SSL/TLS 인증서 필요
- 기본 포트 번호: 443
HTTPS 요청 및 응답 과정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https://example.com 입력
- 브라우저가 웹 서버와 SSL/TLS 핸드셰이크 수행 (암호화 키 교환)
- 브라우저와 서버 간에 암호화된 HTTP 요청/응답 전송
- 브라우저가 받은 데이터를 해독하여 화면에 표시
HTTP vs HTTPS 차이점 비교
구분 | HTTP | HTTPS |
보안 | 암호화 없음 (평문 전송) | 데이터 암호화 (SSL/TLS) |
포트 번호 | 80 | 443 |
인증서 사용 | 불필요 | 필요 (SSL/TLS 인증서) |
속도 | 빠름 (암호화 과정 없음) | 느림 (암호화/복호화 과정 추가) |
SEO(검색 순위) | 불리함 | 유리함 (Google은 HTTPS 사이트를 우선 노출) |
HTTPS 사용 이유
- 데이터 보호: 로그인 정보, 결제 정보 등 중요한 데이터를 보호
- 신뢰성 향상: 브라우저에서 "안전하지 않음" 경고를 방지 (HTTPS 미사용 사이트는 Chrome에서 경고 표시)
- 검색 엔진 최적화(SEO) 혜택: Google은 HTTPS 사이트를 검색 결과에서 우선적으로 배치
- 위조 사이트(피싱) 방지: 공식 인증서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인지 확인 가능
결론
- 보안이 중요하지 않은 테스트 서버나 간단한 서비스에서는 HTTP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실제 운영 환경에서는 반드시 HTTPS 사용이 권장됨.
- 현재 대부분의 웹사이트는 HTTPS를 사용하며, 웹 브라우저도 기본적으로 HTTPS를 권장.
- HTTPS를 사용하려면 SSL/TLS 인증서를 발급받아야 하며, Let's Encrypt 같은 무료 인증 기관을 활용할 수도 있음.
결론: "HTTPS를 사용해야 한다!"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파일 삭제 (0) | 2025.02.17 |
---|---|
놉 지웟다가 넣었다가 (0) | 2025.02.14 |